728x90
반응형
728x170
정물화
# 정물화의 뜻과 역사
: 꽃, 과일, 채소, 기물, 약기 등 움직이지 않는 물건
ㅇ 역사
ㄴ 동양 : 오래전부터 기명 절치화(움직이지 않는 것)를 그림
ㄴ 서양 : 17세기 네덜란드 화가에 의해 독립된 분야
18세기 샤르댕에 의해 본격적 제작
19세기 프랑스 세잔에 의해 더욱 발전
ㅇ 화면구성
ㄴ 3요소 : 변화, 통일, 균형
ㄴ 정물의 배치가 자연스러우며 지나치게 복잡하거나 단조롭지 않도록 함
# 화면구도의 종류
ㅇ 정적인 구도 : 움직임이 적은 것으로 수평선, 수직선, 삼각형, 대각선, 마름모, 원형(타원형)
ㅇ 동적인 구도 : 움직임이 많이 느껴지는 구도로 사선, 전광형(번개), 호선, 역삼각형
# 제작순서
ㅇ 정물의 배치
ㅇ 화면구도 잡기
ㅇ 색칠하기 : 엷게 칠하기, 중색의 효과, 번지는 효과, 명암 입체감 표현, 배경처리
ㅇ 눈높이에 따른 형태 변화
# 정물화의 종류
ㅇ 투명수채화 : 명도조절, 물, 투명하게 표현, 중색의 효과, 맑고 경쾌한 느낌
ㅇ 불투명수채화 : 유회기법효과, 수정이 가능, 중후한 느낌
ㅇ 유채화(유화) : 명암과 발색의 효과가 강함.
기름에 개어서 사용. 일반적으로 널리 쓰임
ㅇ 수묵담채화 : 먹의 농담. 운필의 속도강약, 여백과의 조화
대체로 먹을 먼저 사용 후 물감 사용
ㅇ 담채화 : 연필, 펜의 선이 보이도록 물감 사용
728x90
반응형
그리드형
'Color Story > Art Basi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풍경화의 기본내용 (0) | 2022.06.18 |
---|---|
소묘란? (0) | 2022.06.14 |
형태의 기본 (0) | 2022.06.14 |
댓글